본문 바로가기

Astronomy

(2)
지구 밖 생명체 탐색: 생명 가능성 있는 외계 행성들 외계 생명체 개념의 재정의: 지구 중심적 생명 기준을 넘어서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생명'이라는 개념을 지구 기반 생명체의 특성을 기준으로 정의해 왔다. 학계는 일반적으로 물, 탄소 기반 화학, 안정된 온도 범위, 대기 구성 등을 생명 유지의 필수 조건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 정의는 생명의 보편성을 가정하지 않고, 지구적 경험에 의존하는 일종의 편향적 추론이다. 우주 생물학(Astrobiology)의 주요 과제는 이러한 정의를 확장하는 데 있다. 예컨대,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생명체 가능성이나, 극저온·극고온 환경에서도 생존 가능한 외계 생물 모델은 이미 다양한 이론적 시도에서 제시된 바 있다. NASA의 생명 정의 “자가 유지(self-sustaining)하는 화학 시스템으로, 다윈식 진화를 겪는..
우주 소리: 진공 속에서 어떻게 소리를 탐지할까? 진공의 침묵을 넘어선 과학의 해석과 존재론적 질문 인류는 소리 없는 진공의 우주를 ‘무’로 규정해 왔다. 그러나 21세기 이후의 관측 기술과 이론적 확장은, 인간의 청각을 초월한 방식으로 우주 ‘소리’를 탐지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이 글은 '소리 없는 공간'이라는 통념에 의문을 던지며, 진공 속에서의 파동 해석, 플라즈마 진동의 측정, 그리고 중력파에 이르기까지의 복합적 탐색 메커니즘을 살핀다. 더 나아가 우주 소리의 존재론적 의미, 기술윤리, 사회문화적 상상력의 재편 가능성까지 포함하여 분석한다. 우주의 침묵은 단지 인간의 감각으로는 탐지되지 않는 고차원의 데이터일 뿐이다. 우리는 이제 그 침묵을 번역하고, 해석하고, 의미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 글은 그 첫 경계에서 다룰 ..